이번 포스팅에서는 usb 메모리 초기화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요즘 이동식 저장매체로 가장 많이 사용을 하는것이 usb입니다.
usb 메모리의 경우 다양한곳에서 활용도가 아주 높은편입니다.
usb를 사용을 하다보면 가끔 인식을 못하는 오류가 발생을 하기도 합니다.
이럴경우 usb 포트를 옮겨서 다른 포트에 연결을 하면 인식이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다른포트에 연결을 했지만 속도가 느리거나 인식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는 경우도 발생을 합니다.
속도가 느리거나 인식이 정상적으로 되지 않는 오류외에도 usb를 사용을 하다보면 다양한 오류가 발생을 합니다.
컴퓨터가 usb를 인식을 하고 있다면 위와 같은 오류들의 경우 usb 초기화를 이용해서 해결을 하실 수 있습니다.
usb 초기화의 경우 usb 제조사에서 제공을 하고 있는 툴을 이용을 해서 초기화를 하시는 방법도 있고 윈도우
명령어인 디스크파트 diskpart 를 이용을 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윈도우 명령어 디스크파트 diskpart를 이용을 해서 usb를 초기화해보록 하겠습니다.
해당 방법의 경우 제조사에서 제공을 하는 초기화 툴이 안될 경우 사용을 하는 방법으로 정확하게 드라이브를
입력 해주셔야합니다.
디스크파트의 경우 디스크 안에 있는 자료들이 전부 삭제가 되기 때문에 정확한 드라이브 입력이 필요합니다.
usb 메모리 초기화하는 방법
윈도우 키 + R 키를 클릭을 해서 실행창을 열어줍니다.
cmd를 입력 후 확인을 클릭합니다.
명령 프롬프트 창이 열립니다.
diskpart를 입력 후 엔터를 클릭합니다.
DISKPART 창이 열립니다.
lisk part를 입력 후 엔터을 클릭합니다.
연결된 usb 디스크를 확인을 합니다.
필자의 경우 디스크 2 가 usb 디스크입니다.
select disk 2 (자신의 디스크 번호)를 입력 후 엔터를 클릭합니다.
2 디스크가 선택한 디스크라는 문구가 나옵니다.
clean을 입력 후 엔터를 클릭합니다.
clean 명령어의 경우 디스크에 저장이 되어 있는 파일들이 전부 삭제가 되기 때문에 정확하게 확인을 하시고
진행을 하셔야합니다.
DiskPart에서 디스크를 정리했습니다.라는 문구가 나옵니다.
새로운 파티션을 만들기 위해서 create partition primary를 입력 후 엔터를 클릭합니다.
DiskPart에서 지정한 파티션을 만들었습니다.라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format fs=ntfs quick 를 입력 후 엔터를 클릭합니다.
DiskPart가 볼륨을 성공적으로 포맷했습니다. 라는 메시지가 나옵니다.
exit를 입력 후 종료를 해주시면 됩니다.
usb 메모리 초기화하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끝.
'IT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윈도우 10 Aero 흔들기 창 최소화 마우스 제스처 사용방법 (0) | 2020.06.27 |
---|---|
윈도우 10 xbox game bar 비활성화 및 삭제 방법 (0) | 2020.06.26 |
magicxml 정보와 삭제방법 (0) | 2020.06.21 |
NTSMagicLineMBX 정보와 삭제방법 (0) | 2020.06.19 |
usb 파티션 분할하는 방법 (0) | 2020.06.18 |